에스더 요약
에스더는 구약 성경의 한 책으로, 페르시아 제국에서 유대인들이 위기에 처했을 때, 에스더라는 한 여인이 자신의 민족을 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는 하나님의 섭리와 인간의 용기, 그리고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 배경과 에스더의 왕비가 되기까지 (1-2장)
이 이야기는 아하수에로 왕(크세르크세스 1세) 통치 시기에 일어난다. 왕은 자신의 아내인 와스티를 왕궁에서 쫓아내고, 새로운 왕비를 찾기 위해 미인을 모집한다.
에스더는 유대인으로서 고모 모르드개와 함께 살고 있으며, 아름다움과 지혜로 왕의 눈에 띄어 왕비가 된다. 그러나 에스더는 자신의 민족이 유대인임을 숨긴다.
2. 모르드개의 충고와 하만의 음모 (3장)
왕의 신하인 하만은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자 분노하여 유대인 전체를 멸망시키려는 음모를 꾸민다. 하만은 아하수에로 왕에게 유대인들을 없애자는 제안을 하고, 왕은 이를 승인한다. 하만은 유대인들을 멸망시키기 위해 제비를 뽑아 날짜를 정하고, 이를 공표한다.
3. 에스더의 결단 (4장)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왕에게 나아가 유대인을 구해달라고 요청한다. 에스더는 왕에게 나아가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두려워하지만, 모르드개는 그녀에게 네가 왕궁에 있는 것이 이때를 위함이 아니겠느냐"라고 말하며 그녀의 사명을 일깨운다.
에스더는 결단을 내리고, 자신의 유대인들이 금식하며 기도할 것을 요청한다.
4. 왕 앞에 나아가는 에스더 (5장)
에스더는 왕 앞에 나아가고, 왕은 그녀를 기쁘게 맞이한다. 에스더는 왕에게 연회를 요청하고, 하만도 초대한다. 연회에서 에스더는 자신의 민족이 위기에 처해 있음을 알리기 위해 하만의 음모를 드러내기로 결심한다.
5. 하만의 패역 (6-7장)
하만은 에스더의 연회를 초대받고, 왕은 하만이 모르드개에게 한 악행을 기억한다. 왕은 하만에게 모르드개를 존경하는 방법을 묻고, 하만은 자신이 존경받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기뻐한다.
그러나 에스더의 연회에서 에스더는 하만이 자신의 민족을 멸망시키려는 음모를 꾸민 자임을 밝힌다. 왕은 분노하여 하만을 처형하라고 명령한다.
6. 유대인의 구원과 기념 (8-10장)
하만이 처형된 후, 왕은 모르드개를 높이고, 유대인들에게 자신을 방어할 권리를 부여한다. 유대인들은 하만의 음모로부터 구원받고, 그날을 기념하기 위해 '부림절'을 제정한다.
이 날은 유대인들이 서로를 축하하고, 하나님께 감사하는 날로 기념된다. 에스더와 모르드개는 유대인들에게 이 사건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을 권장한다.
결론
에스더서는 하나님의 섭리와 인간의 용기, 그리고 신앙의 힘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에스더는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고 왕비가 되었지만, 결구 자신의 민족을 구하기 위해 용기 있게 나아간다.
이 이야기는 신앙인들에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의지하고, 자신의 사명을 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준다. 에스더의 이야기는 유대인뿐만 아니라 모든 신앙인에게 희망과 용기의 메시지를 전달한다.